CS

목차 개요 IPC 즉 프로세스간 통신의 한 종류인 파이프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파이프는 두 종류가 있는데 익명 파이프와 지명 파이프로 나뉘어져있다. 파이프를 구현하는데에는 여러가지 옵션을 고려해야하는데 단방향 통신인가? 양방향 통신인가? 양방향인 경우에는 반이중 방식인가? 전이중 방식인가? 두 프로세스 간에 부모-자식 같은 특정 관계가 존재하는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양방향 통신도 가능하고 부모-자식 관계도 필요하지 않은 지명 파이프에 대해 알아보겠다. 익명 파이프에 대해서도 궁금하다면 ⬇⬇⬇ (읽는 것을 추천한다) 프로세스 :: 익명 파이프(anonymous pipes) 목차 개요 IPC 즉 프로세스간 통신의 한 종류인 파이프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파이프는 두 종류가 있는데 익명 파이프와 지명 파이프..
목차 개요 IPC 즉 프로세스간 통신의 한 종류인 파이프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파이프는 두 종류가 있는데 익명 파이프와 지명 파이프로 나뉘어져있다. 파이프를 구현하는데에는 여러가지 옵션을 고려해야하는데 단방향 통신인가? 양방향 통신인가? 양방향인 경우에는 반이중 방식인가? 전이중 방식인가? 두 프로세스 간에 부모-자식 같은 특정 관계가 존재하는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방향 통신만이 가능하고 부모-자식 관계에서만 동작하는 익명 파이프에 대해 알아보겠다. 지명 파이프에 대해서도 궁금하다면 ⬇⬇⬇ 2022.09.21 - [분류 전체보기] - 프로세스 :: 지명 파이프(named pipes) 개념 및 특징 두 프로세스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전달자로서 프로세스간의 통신을 허용한다. 위에서 기술했다싶이 단방향 ..
목차 개요 현재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영상 등을 스트리밍 할때 버퍼링 화면을 자주 보지는 못하지만 초등학교때 처음 나왔던 갤럭시1으로 옆집의 와이파이를 잡아서 볼때는 까만 화면에 원이 돌고 있는 모습을 자주 봤었다. 그 당시엔 다들 버퍼링 심하다~ 라고 하길래 영상이 안나오면 버퍼링이구나 생각했던 시절이 있다. 이 포스팅을 보고 난 후엔 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영상 파일을 다운을 하던 와중에 버퍼에 저장된 영상 매체가 없어서 load를 기다리는 과정이구나 라고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버퍼 (buffer) 생산자는 무언가를 생산해낼거고 소비자는 생산물을 받는 입장일텐데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직접 건네주는 방식은 생산을 하는 과정과 생산물을 받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일어난다. 즉 두 과정이 동시에 실행되지..
· CS/Linux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일 디스크립터와 이것이 사용된 open()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목차 개요 알고리즘 공부에서 항상 숏코딩을 보게 되면 입력받는 input() 대신에 길이가 짧은 open(0)으로 대체하여 받는 코딩들과 리눅스나 운영체제를 공부하다 보면 fildes 라는 항목에 0, 1이나 2를 집어넣는 경우도 자주 보이는데 이 숫자가 무슨 상태를 말하는것 같은데 잘은 이해가 되지 않아서 포스팅을 하게되었다. 개념 파일 서술자 라고도 불리는 파일 디스크립터는 기술문서에 영어로 함축해서 fildes 로도 적혀있다. 위키에 개념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파일 서술자 file descriptor (FD, less frequently fildes) 는 운영체제에서 특정한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추상적..
· CS/Linux
d는 약어 설명에서 보았다 싶이 directory 폴더를 뜻하는 것이고 - 는 일반 파일을 뜻한다. 위 약어를 보고 난 후라면 list - long 명령어를 통해서 해당 경로의 객체가 일반 파일인지 폴더인지와 각각 user : 소유자가 접근할 수 있는 권한 group :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권한 other :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권한 이 가지고 있는 권한 등을 볼 수가 있다. 위의 예시는 모두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데 만약 특정 기능이 없는 경우 그 빈칸은 - (dash)로 표현이 된다. r-x : 읽기와 실행는 되지만 쓰기가 되지않는다. 따라서 나중에 mode 를 변경하는 chmod 등에서의 인자로 세자릿수의 정수형(권한값)이 들어가는 것이 각각 사용자들에 부여되는 권한..
목차 개요 상위의 포스팅에서는 IPC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2022.08.29 - [OS :: 운영체제] - 프로세스 :: 프로세스 간 통신 IPC 프로세스 :: 프로세스 간 통신 IPC 목차 개요 이전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종료되며 그러한 프로세스가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적재와 할당 해제가 반복되면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멀티테스킹; 병행 수행되는 경우 nstgic3.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IPC의 방식 중 하나인 메시지 전달 시스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 것이다. 메시지 전달 시스템 개념 운영체제가 메시지를 이용하여 프로세스간 통신을 하게 하는 기법 메모리 공유 시스템에 비해서 영역을 할당을 할 필요도 없고 프로세스 들끼리 메모리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
nstgic3
'C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