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ced drag factor

· Engineering
목차 개요 이전 포스팅에서는 AR의 개념과 타원형 양력분포와 일반적 양력분포의 차이와 그 비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AR 비가 기체의 양항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Span loading에 대해서 알아보자. AR비와 유도항력요소와의 관계 For typical subsonic airplanes, δ ≈ from 0 to 0.16 일반적인 아음속 비행기에서는 Induced Drag factor가 최대 16%의 추가 항력을 만들어낸다. Primary design factor for minimizing induced drag is not closeness to an elliptical lift distribution, but rather, the ability to make t..
· Engineering
목차 개요 지난번 타원형 양력분포의 수식들과 그때의 특징 그리고 AR비의 개념을 도입시켜서 유도항력과 AR비와의 관계를 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특별 케이스인 타원형 양력분포가 아닌 General 한 형상에서의 양력분포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General Lift Distribution을 위한 푸리에 계수 구하기 먼저 타원형 양력분포 일때의 타원의 일반방정식에서 도출된 지점별 양력분포값을 나타내보자 이 값을 일반적인 양력 분포로 이끌어내기 위해서 먼저 각 지점을 N개로 나누어 기함수인 sin 형태로 가정하고 기함수인 이유는 동체의 body를 y=0이라고 두었을때 좌우로 평형한 힘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푸리에 사인 급수를 통해 표현해보자면 또한 이 공식도 Prandtl`s lifting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