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로그램 소개 자기주도적으로 온라인 학습을 지원하고 팀플,협업 스킬 향상을 올려준다고 한다. 일종의 지역상생 프로그램으로 보여진다. 1기선발 대상 대학으로는 부산대학교와 전대학교가 존재한다. 비전공자 신분으로 제대로된 협업에 목메온 내게 아주 크고 좋은 기회였고 자소서와 함께 지원하게 된다. 가장 기대가 되었던 부분은 1:1 밀착 관리였다. 기본적인 컴퓨팅 지식부터 작업시 발생하는 디버깅까지 항상 구글링을 통해 배워온 나에게 필요한 것이었다. 자소서에는 무엇을 썼는가 꾸밀것도 없었고 없는것을 꾸며내고 싶지 않았다. 자소서에는 내가 좋아했던 분야인 항공우주를 위해 부산까지 와서 해당 대학에 진학하였지만 개발자로의 길로 전향하게 되었고 따라서 내게는 본 프로그램이 컴퓨터 관련 지식은 혼자 공부를 통해서..
목차 개요 저번 프로젝트 설명에 서술했다 싶이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구축해야하는 DB구조가 무척 복잡하다고 느꼈다. 따라서 처음에는 종이에 DB구조도를 그리기 시작했고 생각보다 정리가 잘 되지 않고 그려지지 않아서 PPT를 이용해(장인정신) 그리기 시작했지만 pk fk 등을 지정하여 화살표를 연결하게되면 ppt같은 경우엔 구조를 바꾸게 되면 전부 일일히 옮겨줘야하는 단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이를 무료 지원해주는 웹사이트 2군데를 찾게 되었고 이 둘을 비교해보자. DBdiagram.io https://dbdiagram.io/home dbdiagram.io - Database Relationship Diagrams Design Tool dbdiagram.io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웹사이트로 최종..
https://github.com/Apptive2022-1/apptive-17th-PNUStudent GitHub - Apptive2022-1/apptive-17th-PNUStudent: [PNUStu] University Student Council Integrated Community [PNUStu] University Student Council Integrated Community - GitHub - Apptive2022-1/apptive-17th-PNUStudent: [PNUStu] University Student Council Integrated Community github.com https://github.com/Apptive2022-1/apptive-17th-PNUStudent/pull..
BOJcrawler To reduce the hassle of blog posting 포스팅에 사용될 문제나 예제 문제 설명등을 원하는 HTML 서식 형태로 출력 여러가지 부가적인(많은) 기능들이 추가 탑재 되었습니다 바로 in Ver 2.0.0 에서! Overview fully compatible with tistory Tistory에 맞게 짜여져있다. You can find what it results in below link 아래 링크에서 본 프로젝트의 결과에 대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url.kr/h7egvx [08/14] prettier font [본명조] and spacing between lines 아무튼 예쁘게 만들었습니다. [10/03] It was printed in th..
목차 개요 이전 포스팅에 유한 날개에서의 양력을 구하기 위해 가정하였던 양력선 모델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양력면 모델을 가져왔다. Lifting-line theory 양력선 이론 자세한 설명 (1) Vortex Filament, Circulration, Horseshoe Vortex(Bound vortex+ Free trailing vortex), Biot-Savart 정리 들을 통해 Prandtl's Classical Lifting Line을 설명해주는 포스팅 와류 필라멘트, 회전, 말발굽 와.. nstgic3.tistory.com Lifting-line theory 양력선 이론 자세한 설명 (2) 지난시간의 Classical Lifting line theory의 finite wing의 양 끝점에서의 d..
목차 개요 이전 포스팅에서는 AR의 개념과 타원형 양력분포와 일반적 양력분포의 차이와 그 비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AR 비가 기체의 양항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Span loading에 대해서 알아보자. AR비와 유도항력요소와의 관계 For typical subsonic airplanes, δ ≈ from 0 to 0.16 일반적인 아음속 비행기에서는 Induced Drag factor가 최대 16%의 추가 항력을 만들어낸다. Primary design factor for minimizing induced drag is not closeness to an elliptical lift distribution, but rather, the ability to make t..